From 'www.wsicommunity.com' - The Financial Times Limited. All Rights Reserved.
Will I Ever Know What I Want to Do?
(제가 뭘하고 싶은지 알 수 있을까요?)
By Lucy Kellaway
What do you want to be when you grow up?
당신이 자라면 무엇이 되고 싶으세요?
When I was about 10 I answered with complete confidence: I wanted to be a flight attendant.
제가 10살일 때 자신감에 넘쳐 승무원이 되고 싶다고 말했었어요.
That was the last moment in my life I’ve felt such certainty about my career.
그게 제 인생의 마지막 순간이었어요, 제 경력에 대해 그렇게 자신감있었던 적이 말이에요.
As a teenager, all I knew was I didn’t want to be a maid or a filing clerk in a psychiatric department or work selling products in a shop.
십대 때의 제가 알았던 모든 것은 가정부 혹은 쌓여진 서류를 정리하는 심리학도 혹은 점포에서 물건을 파는 점원은 하고 싶지 않았다는 거에요.
These were the only jobs I had and I didn't like any of them.
이 정도가 제가 알고 그 어떤 것들보다 하기 싫었던 직업들이에요.
Even now I’m not quite sure what I want to do when I grow up.
심지어 지금까지도 전 아직 자라서 뭘 하고 싶어하는지 확인이 안서요.
I’ve been stuck these past few decades still hoping that the answer to the question will come one day.
지난 몇 십년동안 언젠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게될거란 희망에 갇혀 지냈어요.
Last week a survey showed that 13 to 17-year-olds in Britain want to do the “wrong” things.
지난 주 설문에 따르면 13세에서 17세사이의 영국 아이들은 뭔가 "잘못된" 것들을 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여져요.
They want to be teachers, doctors, lawyers, psychologists and journalists.
그들은 모두 선생님, 의사, 변호사, 심리학자 그리고 언론학자가 되고 싶어해요.
This is meant to be bad because there aren’t enough jobs for them.
이건 나쁘게 되는 것을 의미하게 되죠. 그 분야엔 그들을 위한 충분한 자리가 없기 때문이에요.
A fifth wants to work in culture, sport or media, which together is about 50 percent of the jobs available.
다섯번째는 스포츠와 미디어 등의 문화분야에서 일하는 것을 원하죠. 동시에 그 일의 대략 절반만이 가능한데 말이죠.
The only thing that worries me about the survey is that someone thought it was a good idea to ask the question to 11,000 teenagers.
제가 그 설문에 대해 걱정하는 한 가지는 분명 누군가는 11,000명의 십대들에게 이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은 생각이라 생각했다는 것입니다.
The question assumes that the perfect right career is waiting to be found.
그 질문은 진정 완벽한 이력이 여러분으로 인해 찾아지길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사실화 하는거잖아요.
In fact, the process should be much more trial-and-error than follow-your-dream.
사실, 그 과정은 당신의 꿈을 쫓는 것보다 더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는데 말이죠.
If I’d followed my dream, I’d now be 30,000ft in the air saying: “Would you like ice and lemon with that, sir?”
만약 제가 저의 꿈을 쫓았다면, 전 지금 3만 피트 상공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겠죠: "선생님, 아이스 레몬티 드시겠어요?"
The question is outdated; these teenagers have 50 to 60 years’ work ahead of them.
질문이 너무 구식이에요. 여기서 말하는 십대들은 이 전에 50에서 60까지 일한 사람들인거에요.
They need to do lots of different things.
그들은 여러가지 다른 것들을 해봐야할 필요가 있어요.
This means they can afford to get it wrong a few times before finding something that suits them.
이 말은 즉 그들은 아직 잘못된 것을 몇 번 해볼 충분한 여유가 있다는거죠. 그들에게 딱 맞는 무언가를 찾기 전에 말이에요.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no one wants to work for banks any more.
설문결과는 더 이상 그 누구도 은행에서 일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을 보여주죠.
Even fewer want to go into public relations or human resources, along with working down the mines and in a call-centre.
심지어 몇몇은 광산이나 콜센터에서 일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홍보부나 인사부로 가고 싶어해요.
Instead they all want jobs that require training and brain power.
대신에 그들은 어떤 훈련이나 두뇌활동을 요구하는 일을 원하는거죠.
Yet what these kids don't know is how unhappy their dream jobs may make them.
지금까지도 이 아이들이 모르는 것은 그들의 꿈의 직업이 얼마나 그들을 불행하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에요.
Lawyers are in a privileged position, at the top of the desired list but at the bottom of most job-satisfaction surveys.
변호사는 권위있는 직책이죠, 선호되는 목록의 최고점에 있는... 하지만 직업만족도 설문에서는 최하위에요.
Someone should tell them before they start all that training that only four in 10 lawyers recommend the law to others.
누군가는 그들에게 말을 해주어야만 해요. 그들이 모든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말이죠. 사실 10명의 변호사 중 단 4명만이 다른 사람들에게 변호사를 추천한다는 사실을 말이죠.
The rest see only the long hours, the pointless tasks and the unfriendly colleagues.
나머지는 그냥 오랜시간동안, 무의미안 업무들과 친근하지 않은 동료들을 보는거죠.
By contrast, many of the jobs hated by teenagers turn out to be rather happy.
그에 반해서, 십대들이 싫어하는 많은 직업들이 보다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나요.
No one, it seems, wants to be a chef, but this is one of the happiest jobs at the moment.
아무도 쉐프가 되고 싶어하지 않고 그런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이건 가장 행복한 직업 중 하나에요.
Even more surprising is that jobs that are normally disliked like secretaries and bank tellers are the positions having the most fun at work.
심지어 더욱 놀라운 것은 보통 사람들이 싫어하는 직업들인데 그러니까 비서나 은행점원처럼 말이에요, 근데 이런 직책들이 직장에서 가장 재미있는 직업이라는거죠.
From my three unskilled teenage jobs I learnt a lot.
Being a maid was horrible.
가정부가 되는 것은 최악이었죠.
I learnt I didn’t mind the cleaning; what I did mind was the isolation.
저는 제가 청소하는 것에 신경쓰지 않았다는 것을 배웠어요. 제가 신경쓴건 격리되는 것이었어요.
Being a shop girl would have been better, but the manager was unorganised and used to shout.
여성판매원이 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점장이 되면 정리정돈을 잘 못하고 가끔 소리를 지르겠죠.
And it was so boring that one day I fell asleep.
그리고 그건 너무 지루해서 하루는 잠들어버릴거에요.
The psychiatric department was quite fun, as I was fascinated by the patients and the receptionist made me laugh.
심리학 부서는 매우 재미있었어요, 저는 환자들에 매료되었고 접수담당자는 정말 웃겼죠.
Working there I learnt the most underplayed lesson of all.
그 곳에서 일하면서 전 가장 덜 심각해보이는 수업을 배웠죠.
The hospital was close to where I lived and I walked there.
병원은 제가 살던 곳에서 문을 닫았고, 그래서 전 그 곳까지 걸었죠.
Even though I was only 19, I discovered something that academics recently did an entire study to understand: the easiest way to guarantee that your dream job is a nightmare is to have a long commute.
비록 전 19살이었지만, 연구원들이 최근에 당신의 꿈의 직업이 악몽인 것을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긴 시간을 가지는 거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진행한 최근의 모든 연구에서 뭔가를 발견했어요.
1) assume: to take for granted or without proof / (사실일 것으로) 추정[상정]하다
2) outdated: no longer in use or fashionable; out-of-date; outmoded; antiquated / (더 이상 쓸모가 없게) 구식인
3) irrelevant: not relevant; not applicable or pertinent / 무관한, 상관없는
4) ahead of: in or to the front; in advance of; before / (공간・시간상으로) …앞에
5) public relations: (used with a plural verb) the actions of a corporation, store, government, individual, etc., in promoting goodwill between itself and the public, the community, employees, customers, etc / 홍보[선전] (활동)
6) along with: ~에 덧붙여; ~와 마찬가지로
7) privileged: belonging to a class that enjoys special privileges; favored / (때로 못마땅함) 특권[특전]을 가진
8) pointless: without a point / 무의미한, 할 가치가 없는
9) by contrast: (《앞 문장을 받아》) 그에 반해서, 그와 대조적으로
“In contrast” and “by contrast” mean the same thing: the act of comparing in order to
show differences.
The difference lies in the way the words are used.
“In contrast” is usually followed by “to” or “with” and requires a noun to follow it.
“By contrast” is usually followed or preceded by the subject of the sentence.
10) turn out: to be found or known; prove / 모습을 드러내다[나타나다]
11) isolation: the state of being isolated / 외로운[고립된] 상태; 고립, 분리, 격리
12) shop girl: a salesgirl; female store clerk / 여성판매원, 여점원
13) fascinated: to attract and hold attentively by a unique power, personal charm, unusual nature, or some other special quality; enthrall / ~ to see, learn, etc. ~ (by sth) 마음을 다 빼앗긴, 매료[매혹]된
14) receptionist: a person employed to receive and assist callers, clients, etc., as in an office / (호텔・사무실・병원 등의) 접수 담당자
15) underplay: to understate or de-emphasize; downplay / [타동사][VN] (특히 英) (실제보다) 덜 중요해[심각해] 보이게 만들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