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 9일 수요일

Body Language Can Help With Public Speaking

From 'learningenglish.voanews.com(http://goo.gl/uePnMc)' - 09 Mar, 2016



Body Language Can Help With Public Speaking
(몸동작이 공개연설을 도울 수 있습니다.)



Today, we return to the subject of successful public speaking centering on the physical message of presentation.
오늘날, 우리는 공식적인 발표에 육체적인 메시지가 주는 성공적인 연설이란 주제를 돌아봅니다.

Some call this body language.
몇몇은 이것을 몸동작 혹은 바디랭귀지라고 부릅니다.

Charles LeBeau is a professor of public speaking and has written several books about how to do it well.
Charles LeBeau 는 공개연설을 담당하는 교수이자 어떻게 연설을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개의 책도 집필해 왔습니다.

Mr. LeBeau tells VOA that body language includes posture, eye contact and gestures - how you move your hands or arms.
LeBeau 씨는 몸동작은 자세, 눈맞춤 그리고 당신의 손과 팔동작을 포함한다고 VOA 에 전했습니다.

For the physical message, a lot of non-native presenters are going to have problems with posture, and eye contact, and gestures.
육체적 메시지를 사용하기 위해, 수많은 비원어민 발표자들이 자세, 눈맞춤 그리고 동작들에 대한 문제점을 갖게 될 것입니다.

I think a lot of this comes from nervousness.
저는 이러한 현상이 불안함에서 유래된다고 생각합니다.

"Not only are they nervous because they’re doing a presentation, but in addition to that they’re really nervous because of their English, and their lack of confidence, lack of experience in their English, they’re trying to figure out the grammar, what I want to say, and they’re having all kinds of difficulty doing that, and also controlling their body.”
그들은 그들이 불안해하는 이유는 어떤 발표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들의 영어, 부족한 자신감, 영어에 대한 경험 부족, 내가 말하고 싶어하는 것에 대한 문법을 정확한 것인지 밝혀내려고 하는 것처럼 하고 있는 모든 것 그리고 그들의 몸을 주체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불안해하는 이유는 발표를 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그들의 영어실력, 저조한 자신감, 경험부족, 문법과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시도하는것들 같은 모든 과정, 또한 그들의 몸을 제어하는것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We have all seen nervous presenters in classrooms and meetings.
우린 모두 강의실과 회의 중 불안해하는 강연자를 보아왔습니다.

One effect of being nervous is moving from side to side.
긴장을 하면 나타나는 효과는 안절부절하는 것입니다.
(긴장의 영향 하나는 이야기의 갑작스러운 변화입니다.)?

A presenter does not need to stand perfectly still.
강연자는 완전히 정지된 채로 서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In fact an audience can lose interest in a speaker who does not move.
사실 청중은 움직이지 않는 강연자에 대한 관심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How a speaker moves is important.
강연자의 움직임이 얼마나 중요할까요.

Whole-body movement should be slow and planned to command attention.
모든 몸동작은 청중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천천히 그리고 계획되어져야만 합니다.

Such movement helps to communicate confidence.
이런 동작은 자신감있는 대화를 돕습니다.

New public speakers know that they should look at the audience while they speak.
새로운 공개연설자들은 그들이 연설하는 동안에 청중들을 봐야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But they look at their notes on a paper or at the screen if they have an electronic presentation.
하지만 빔프로젝트로 진행하는 발표를 하면 종이 위에 준비한 노트를 보거나 스크린을 봅니다.

“With posture, the typical problem that I see is that they are often moving back and forth, and they’re not facing the audience. They’ll often be facing the white board or the screen with slides and be talking to that rather than talking to the audience.
자세를 보면, 제가 본 이들의 전형적인 문제는 자주 앞뒤로 움직이며 청중을 마주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자주 화이트보드 혹은 슬라이드가 펼쳐져있는 스크린을 마주하며, 청중에게 말하고 있기 보단 화이트보드 혹은 스크린을 향해 말을 하고 있습니다.

"Same thing with eye contact – they find it really, really difficult - some of them find it really difficult - making eye contact with the audience, because they’ll be looking at their notes, they’ll be looking at their computer, they’ll be looking at the screen, they will be looking at the floor. The problem of having notes, and trying to talk from notes , often is a big problem. So they have trouble with eye contact.”
눈맞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눈맞춤이 정말 정말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청중과의 눈맞춤은 그 중 몇몇에겐 더욱 어렵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노트를 보거나, 컴퓨터를 보거나, 스크린을 보거나, 바닥을 볼 것이기 때문입니다.

Charles LeBeau says the best way to avoid this problem is to use images and few words for notes instead of sentences.
Charles LeBeau 는 이 문제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미지와 문장 대신에 메모를 위한 몇 가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The image should help communicate the point you want to make. Writing a few words with the image on your slide helps you remember that point. Then you can look at the audience while speaking.
이미지가 당신이 만들고자 하는 요점을 살린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당신의 슬라이드에 이미지와 함께 몇 가지 단어를 적는 것은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요점을 기억하도록 돕습니다. 그 후 당신은 말하면서 자연스레 관객들을 볼 수 있습니다.

“Another problem I’ve noticed is oftentimes there’ll be a lot of sentences or words on the slides and no images. So I think the key is if they can figure out what images to use that will communicate their message, because the images will communicate faster and more clearly than words.”
"제가 알아챈 또 다른 문제는 정말 자주 많은 문장과 단어들이 그 어떤 이미지도 없이 나열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제가 생각하는 해답은 그들이 그들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느냐 없느냐입니다. 왜냐면 이미지들이 단어들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기 때문입니다."

Holding on to notes also makes it more difficult for a speaker to gesture naturally. Mr. LeBeau’s book, “Speaking of Speech,” discusses this.  He says gestures should support the point the speaker is making. For example, when talking about three ideas, hold up three fingers to introduce them. Then hold up one finger while explaining the first idea, two fingers for the second, and so on.
메모지를 들고 보면서 하는 것 역시 연설자의 자연스러운 동작을 더 어렵게 합니다. LeBeau 씨의 책 "Speaking of Speech" 는 이런 것을 다룹니다. 그는 동작들이 연설자가 만드는 대화의 요점을 명확하게 합니다. 예를들어, 3가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다면, 그것을 소개하기 위해 3 손가락을 치켜듭니다. 그 후 한개의 손가락을 치켜들며 첫번째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두번째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해 두개의 손가락을 치켜듭니다.

Other experts advise moving your body to a different place for each idea. Stay in place until you finish making that point. Then move to the next place on the stage or in the room.
다른 전문가들은 매 아이디어를 위해 당신의 몸을 다른 장소로 움직이는 것을 제안합니다. 당신이 그 요점을 마무리할 때까지 한 장소에 머물러라.

Mr. LeBeau says a good way to change your body language is to make a video of your presentation and watch yourself. This helps you to become aware of what you need to change.
LeBeau 씨는 당신의 몸짓을 바꾸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당신의 연설영상을 만들어 직접 보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당신에게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함으로써 당신을 도습니다.

“I find often times, the gestures don’t look natural. They are poorly delivered, or they are just nonexistent. Students can video themselves, and then look at it, they can clearly see: “Oh, My! I had no idea that I looked like that! My posture! I’m moving all over the place. Look at my hips. It’s going back and forth and back and forth.
"저는 자주 발견하는데, 몸짓이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아요. 형편없는 연설을 하거나, 혹은 그냥 아무 것도 없어요. 학생들은 그들 자신을 촬영할 수 있고, 그 후 볼 수 있죠, 그들은 명확히 알 수 있어요. "이런... 내가 저렇게 해! 답 없네 ;; 내 자세 말이야!! 모든 곳을 돌아다니고 있잖아. 내 엉덩이 좀 봐. 계속 흔들거리네.

"And my eye contact! All of these other goofy things that I’m doing  without noticing it, or thinking that ‘well, it’s not such a big deal.’  But if I can see it I can realize oh, ‘ok, I see, I see, I see what I’m doing.’ I think that helps them change more quickly. So they can do their presentation again, and work on changing, then they can compare, and they can see that they can make quick improvement.”
"그리고 내 눈맞춤! 이런 종류의 모든 바보같은 행동을 알아차리지 못한채 하고 있잖아, '그건 별로 중요하지 않아.' 라고 생각하고 있네. 하지만 내가 내 연설을 본다면 전 깨닫겠죠. '내가 뭘하고 있는지 알았어!' 제 생각엔 이런 것이 그들을 더 빠르게 변화시킨다고 봅니다. 그렇기에 그들은 그들의 연설을 반복하고, 변화하고, 그 후 비교하고, 빠른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n important part of public speaking is practice. When you practice remember these important tips: Be aware of your posture, eye contact, and gestures. Record yourself using a phone, tablet, or camera. Watch yourself and plan what you will do to improve.
연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연습입니다. 당신이 연습할 때 이 중요한 팁들을 기억하세요: 자세, 눈맞춤 그리고 몸짓을 인지하세요. 전화, 태블릿 혹은 카메라를 이용해 당신 스스로를 녹화하세요. 스스로를 보면서 발전하기 위해 해야할 것이 무엇인지를 계획하세요.

Look for opportunities to speak and gain more confidence. Mr. LeBeau says his students find the physical message the easiest thing to change in order to become a better presenter.
말할 기회들을 찾아 더 많은 자신감을 얻으세요. LeBeau 씨는 그의 학생들은 육체적 신호가 더 좋은 프레젠터가 되기 위한 변화에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The first thing that we deal with is the physical message. And the reason we do that is so students can have a real positive experience really quickly. You know, I looked like this in the beginning and now, after one day, or a couple of classes, now I look like this - I do look much better!
"우리가 다뤄야할 첫번째는 바로 육체적 신호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하는 이유는 바로 학생들이 정말 빨리 긍정적 경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도 알겠지만, 난 시작부터 그리고 지금도, 1일 후에도, 혹은 몇 개의 강의 후에도 이렇게 보였고, 지금도 이렇게 보입니다. 난 더 멋지게 보입니다!

"I think it helps them feel more positive about the experience. It helps them see that ‘yes, I can do this, I can look confident.’ So, I think that it’s the easiest to change, and mayb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eal with first.”
"나는 이것이 경험을 더 긍정적으로 느끼게끔 돕는다고 생각합니다. '맞아, 난 할 수 있어, 더 자신있어 보일 수 있어.' 라는 사실을 깨닫게 돕습니다. 그래서, 나는 변화를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이라 생각하고, 첫번째로 다뤄야할 가장 중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In our next Speaking Tips, we will look at the visual message, the visual aids you show the audience, and the story message, how to organize the ideas you present.
다음 단계는, 우리는 보여지는 신호를 찾을 것입니다, 그 신호는 당신이 청중에게 보여지도록 돕고, 스토리 신호는 당신이 연설하는 그 아이디어를 어떻게 구성할지를 돕습니다.





1) poorly: in a poor manner or way / 좋지 못하게, 저조하게, 형편없이
2) deliver: to give forth in words; utter or pronounce / (연설・강연 등을) 하다; (판결 등을) 내리다
3) nonexistent: absence of existence / 실재[존재]하지 않는 (것)
4) goofy: ridiculous; silly; wacky; nutty / (비격식 특히 美) 바보 같은, 얼빠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