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4일 토요일

Beautiful, Bold, but Brilliant?

From 'www.wsicommunity.com (http://goo.gl/D4MnBD)'



Beautiful, Bold, but Brilliant?
(아름답다, 대담하다, 근데 똑똑하다?)
By Lucy Kellaway



While I was talking to a room full of new employees at a big accountancy company, I noticed something strange. There was not a single ugly person among the 80 faces in the crowd. No one with bad skin and no one with asymmetric features. Every single face was attractive.
저는 어떤 큰 회계회사의 신입사원으로 가득찬 방에서 이야기를 하던 도중에, 뭔가 이상한 낌새를 느꼈습니다. 그 무리 속 80명의 사람들 중엔 단 한명도 못생긴 사람이 없었어요. 피부가 안좋거나 얼굴이 비대칭인 사람은 아무도 없었죠. 모든 이의 외모가 매력적이었습니다.

This wasn’t Vogue or Abercrombie & Fitch. These people had been hired to audit company accounts, a task where you need a love for maths and not high cheekbones. Yet this room, which was full of accountants, all had a minimum standard of looks that a large part of the general population does not.
이 곳은 Vogue 나 Abercrombie & Fitch 같은 회사가 아니었습니다. 이들은 회계회사의 회계나 수학에 대한 사랑이 필요한 사람을 위한 업무를 위해 고용된 것이지 높은 광대뼈를 기준으로 고용된 것은 아니죠. 하지만 회계사들로 가득찬 이 방은 모두 일반적으로 인구의 대부분이 가지지 못한 외모에 대한 최소의 기준을 가졌습니다.

This company is not at all unusual. If I think of the friends of my children who have got jobs in accountancy, banking, consulting and the law, all are above average in appearance. Even in radio, which has always been the natural home of the ugly, there is not a plain person anywhere.
이 회사는 전혀 특이하지 않습니다. 제가 제 자식들의 회계회사나 은행, 컨설팅 그리고 법조계에서 일하는 친구들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모두 평균이상의 외모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지어 못난이들의 고향인 라디오에서도, 밋밋한 사람이 없습니다.

Not only have we eliminated the ugly from most competitive jobs, but polite society has also stopped using the word too. In time, the u-word will be considered as obnoxious as the n-word, but for now I’m using it to make a point. No one calls anyone ugly anymore and they also refuse to hire them.
가장 치열한 직업군 내에서 못난이들이 없어진 것 뿐만 아니라, 예의바른 사회 내에서는 그 단어를 사용하는 것 역시 멈추었습니다. 바야흐로, 'u' 로 시작되는 그 단어는 'n' 으로 시작되는 단어마냥 아주 불쾌한 것으로 간주되어질 것이나, 하지만 지금은 강조를 위해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이상 아무도 누군가를 못난이라 부르지 않으며 그들 역시 그런 사람을 고용하지 않습니다.

We aren’t racist or sexist any more, but are still faceist. Employers and managers are so faceist that the good looking have been found to earn some 10 per cent more than the bad looking and CEOs with confident faces have been shown to run companies that make the biggest profits.
우리는 더이상 인종차별주의자나 성차별주의자가 아닙니다. 하지만 우린 여전히 외모차별주의자입니다. 고용주나 운영자들은 매우 외모차별주의자입니다. 잘생긴 외모는 못생긴 외모보다 10%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준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자신감있는 외모의 대표이사들은 최고의 실적을 만든 회사를 경영한 것으로 보여왔습니다.

Other studies show that being ugly can sometimes be an advantage. If you are trying to rob a bank, it is good if you look a bit scary. It can also help you get hired over someone handsome but only when the person doing the hiring sees you as competition. Neither result is especially positive.
다른 연구에서 못 생긴 것은 가끔 이득이 됨을 보여줍니다. 만약 당신이 은행을 털려고 한다면, 당신이 조금 무섭게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잘 생긴 사람보다 취업이 쉬울 수 있습니다. 단, 고용을 하는 사람이 당신을 경쟁상대로 보고 있을 때만 말이죠. 모든 결과가 특별히 긍정적이진 않습니다.

While the studies don’t prove faceism is getting worse, my eyes tell me it is. This may be because my eyes are 56 years old, and to them anyone in their twenties seems beautiful. Yet I’ve just been looking at old photographs and even though we look ridiculously young, we don’t all look lovely. There were a few real beauties, but most of us were of unremarkable appearance and a few were not very attractive.
많은 연구들이 점점 더 악화되어가고 있는 외모차별주의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한 반면, 제 눈은 제게 입증할 수 있다 말합니다. 이건 어쩌면 제 눈이 56세이기 때문이고, 그들에겐 그들의 20대 중 누구도 아름다워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오래된 사진들을 보고 있습니다. 심지어 우리가 이상하리만큼 어려보이는데도, 우리 모두가 사랑스러워 보이지 않습니다. 단지 몇 개의 진정한 아름다움들이 있지만, 우리 중 대부분은 특별할 것 없는 외모이고 몇몇은 아주 매력적이진 않았습니다.

Another possible reason accountants are getting better looking is that the whole world is becoming prettier as it gets richer and more obsessed with appearance. However, in a way it is strange that we should be becoming more faceist in an internet age in which we send emails rather than meet people.
회계사들이 점점 더 잘 생겨지고 있는 또다른 추론가능한 이유는 전 세계가 부자가 되어 더 이뻐지게 되고 있다는 것과 더욱 외모에 치중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직접 만나기 보단 이메일을 더 주고 받는 인터넷 세대에서 더 많은 외모차별주의자가 되어야만 한다는 것은 이상합니다.

Yet in other ways the internet is making things worse. Just now I was sent details of a person I’m interviewing for a job and I did what I always do, I looked his picture up on the Internet. My prejudices were already forming and I hadn’t even spoken to him.
그렇지만 다른 면에서 인터넷은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들고 있죠. 바로 지금 저는 구직을 위해 인터뷰를 하고 있는 어떤 사람의 지원서를 받았고 늘 그렇듯이 인터넷에서 그의 사진을 찾았습니다. 제 고정관념은 이미 형성되었고 저는 심지어 이유를 그에게 말하지도 않죠.

To try to stop this from happening, two companies, Unilever and Microsoft have started an experiment where they interview people behind a screen for the first three minutes, so that the first impressions are face-free. I believe the number of ugly workers a company employs says a lot about them. If it hires only attractive employees, it is not only being horrid, it is missing out on the potential of a group of people, which means underperformance can follow.
Unilever 와 Microsoft 두 개 회사는 이러한 현상을 중단키 위한 시도로 그들이 최초 3분동안 어떤 장막 뒤에서 지원자를 인터뷰하는 실험을 시작해 왔습니다. 안면인식없는 첫인상을 위해서 말이죠. 저는 어떤 회사가 고용하는 많은 수의 못 생긴 노동자들이 그들에 대해서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 믿습니다. 만약 오직 매력적인 노동자들만이 고용한다면, 그건 끔찍한 것 뿐만 아니라, 한 무더기의 사람들에 잠재성있는 가능성을 놓치고 있는 것입니다. 한 회사가 그들을 놓침으로써 예상보다 실적을 내지 못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하죠.

In thinking about this article, I have been looking at my own colleagues and I can say there is little sign of faceism here with faces which range from the fairly gorgeous to the not-gorgeous at all. I can think of plenty of other companies, which are on average prettier, but then the standard of their quality is lower. These two facts are surely not unrelated.
이 기사를 보며 생각컨데, 저는 제 동기들을 봐왔고, 그 시선엔 매우 멋짐부터 전혀 멋지지않음까지의 잣대로 그들을 판단하는 외모차별주의의 시선이 거의 없다 말할 수 있습니다. 많은 다른 회사들에 대해 생각해 보죠, 평균이상으로 이쁜 외모의 직원을 가진 회사말이죠. 하지만 이 때 그들 외모의 기준은 더 낮습니다. 이 두가지 사실은 완전히 동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1) asymmetric: 비대칭의; 불균형적인
  2) crowd: (특정한) 집단[사람들]; (길거리나 스포츠 경기장 등에 모인) 사람들, 군중, 무리
  3) cheekbone: 광대뼈
  4) not at all: 결코 ~하지 않는
  5) unusual: 색다른; 특이한, 흔치 않은, 드문
  6) In time: 이윽고
  7) obnoxious: 아주 불쾌한, 몹시 기분 나쁜
  8) make a point: 주장[생각]을 밝히다, 주장[변명]이 정당함을 보여주다
  9) racist: 인종 차별주의자(의)
10) sexist: (특히 여성에 대한) 성차별주의자
11) prove: 입증[증명]하다
12) unremarkable: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13) in a way: 어느 정도는; 어떤 면에서는
14) look something up: (사전·참고 자료·컴퓨터 등에서 정보를) 찾아보다
15) experiment: (과학적인) 실험
16) potential: (…이 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17) underperform: (예상보다) 기량 발휘를 못하다[실적을 못 내다]

18) gorgeous: 아주 멋진[아름다운/좋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