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http://goo.gl/0pcns0" - 17 Feb, 2016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in Korea are choosing to live alone according to latest figures.
최근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홀로 지내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고 합니다.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was found to have jumped nearly eight times in just 30 years, and is picking up pace.
상당수의 일인가구가 30년만에 거의 8배 정도 치솟은 것이 발견되었고,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found that in 1985,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mes stood at 661-thousand.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 사실을 1985년에 발견했고, 661,000 란 상당수의 독신가정이 있습니다.
But last year, the figure was estimated to have surged to more than five million.
하지만 지난해, 해당수치가 5백만 이상으로 급등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In terms of proportion, one-person households accounted for just below seven percent of the total in 1985.
비율 면에서, 일인가구는 1985년 전체의 7% 미만으로 추정되었습니다.
That shot up to 27.one percent in 2015 and by 2035, it's estimated to further soar to 34.three percent.
2015년 수치는 27.1%로 치솟았고, 이 수치는 2035년까지 34.3%로 더욱 치솟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Analysts say this means one-person homes will grow to a similar level taken up by two-generation household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the mainstay of Korea's household demographics.
분석전문가들은 이것이 일인가구가 전통적으로 한국 가족구성 통계의 대들보 역할을 해온 핵가족가구와 비슷한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Two-generation households refer to a parent or paren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핵가족가구는 한 명의 부모 혹은 부모들과 그들의 아이들이 함께 살고 있는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Their number is steadily on the decline due to Korea's chronically low birthrate.
핵가족가구의 수는 점차적으로 감소상태에 있으며, 이것은 한국의 만성적인 낮은 출생률 때문입니다.
This is also reflected in the increasing number of households made up of childless married couples.
이것은 또한 아이없이 결혼한 연인들로 구성된 가족구성이 점점 더 증가하는 것을 반영합니다.
In a 2012 national fertility survey,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born to one woman between the age of 15 and 49 was one.seven-five.
2012년 국민출생률조사를 보면, 15세에서 49세 사이 한 여성의 평균출산률은 1.75%입니다.
The institute noted that households with two or more generations wanted to have more children due to the reduced burden of childcare required of the parents.
조사원은 핵가족 혹은 대가족가구가 부모들에게 요구되는 보육의 부담을 줄이고자 더 많은 아이들을 원한다고 언급했습니다.
1) one-person household: 일인가구
2) pick something up: 회복되다[개선되다]; 더 강해지다
3) pace: (빠른) 변화의 속도; 속도감
4)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estimate: 추산[추정]하다
6) surge: 물가・수익 등이 급등[급증]하다
7) proportion: (전체의) 부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
8) in terms of: … 면에서[…에 관하여]
9) account for: ~을 설명하다
10) shoot up: 급속히 자라다
11) soar: (가치・물가 등이) 급증[급등]하다[치솟다]
12) mainstay: (무엇의 존재・성공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대들보/기둥]
13) demographics: 인구 통계 (자료)
14) refer to: ~을 나타내다[~와 관련 있다]
15) chronically: 만성적으로, 질질 시간을 끌어
16) made up of: ~로 구성되다
17) fertility: 비옥함; 생식력
18) burden: 부담, 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