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월 24일 수요일

Micromanaging Kids Found to Yield Downsides

From "http://goo.gl/LU5FZG" - 09 Feb, 2016


Micromanaging Kids Found to Yield Downsides
(과보호된 아이들은 나쁜 길로 빠짐을 발견하다)

They have good intentions.
그들은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They want to protect their kids and help them get the highest grades and be successful.
그들은 아이들이 높은 성적을 얻고 성공하도록 보호하고 돕고 싶어합니다.

With today’s technology - from Skype chats to smartphones - many parents are literally hovering over their kids, giving them direction and advice at any moment, from anywhere.
Skype chats 부터 스마트폰과 같은 오늘 날의 기술로 많은 부모들이 그야말로 아이들 주변을 멤돌고 있고, 언제 어디서든 그들에게 나아갈 방향과 조언을 해주고 있습니다.

These are “helicopter” parents.
이런 부모들을 "헬리콥터" 부모라 부릅니다.

But are they actually helping their kids?
하지만 그들이 정말 그들의 아이들을 돕고 있는걸까요?

Julie Lythcott-Haims says no.
Julie Lythcott-Haims 는 아니라고 말합니다.

In her book, How to Raise an Adult: Break Free of the Overparenting Trap and Prepare Your Kid for Success, the attorney and author takes a closer look at this parenting style and explains how to stop it.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 부모의 지나친 교육이란 함정에서 벗어나 성공을 위해 당신의 자녀를 준비시켜라" 란 그녀의 책 속에서, 검사와 저자는 이러한 양육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고 어떻게 멈출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Lythcott-Haims had firsthand experience with helicopter parents during her decade as dean of freshmen at Stanford University.
Lythcott-Haims 는 스탠포드 대학에서 신입생들의 학과장으로 10년동안 헬리콥터 부모들과 함께한 첫번째 경험자입니다.

Incoming students, she says, were brilliant and accomplished on paper.
그녀가 말하길 입학생들은 서류상 총명하고 숙달되어 있었습니다.

In reality, many were incapable of taking care of themselves.
실제로는, 많은 입학생들이 스스로를 지키는데 충분한 역량이 없었습니다.

“They were turning to their parents constantly for guidance, problem solving, to have them make the choice about something,” she said.
"그들은 항상 안내, 문제해결, 어떤 거에 대해 그들이 선택해야 하는 것에 그들의 부모에게로 돌아가고 있었습니다," 라고 그녀가 말했습니다.

Oftentimes, she had to remind those parents that their kids were old enough to take care of themselves.
종종, 그녀는 이런 부모들에게 아이들이 스스로를 지킬만한 충분한 나이가 되었음을 상기시켜야만 했습니다.


Are you one of them?
너도 그런 사람이야?

One evening, Lythcott-Haims discovered that she might be a helicopter mom herself.
어느 밤, Lythcott-Haims 는 그녀 자신도 헬리콥터 엄마일지 모른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Her children were 8 and 10 at the time.
그 때 그녀의 아이들은 8살과 10살이었습니다.

"I leaned over at dinner and began cutting my 10-year-old's meat.
나는 저녁식사 중 테이블에 기대어 10살 아이의 고기를 썰기 시작했어요.

I realized, 'Oh my goodness, I’m overparenting my 10-year-old. He should be able to cut his own meat!'
'오! 이런, 내가 내 10살짜리 아이를 지나치게 보호하고 있구나. 아이가 스스로 고기를 썰 수 있어야 하는데!' 고 저는 깨달았죠.

It’s my job to teach him. I haven’t done that.
아이를 가르치는 것이 제 역할인데. 전 그렇게 하고 있지 않았어요.

I’m on the track to being one of those parents," she recalled thinking.
나도 그런 부모들 중의 하나처럼 행동하는 과정이었어요," 라고 그녀는 회상했습니다.

She began to develop real empathy for parents and realized they were hovering with the best of intentions.
그녀는 부모들을 위한 진정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시작했고 그들의 최선이란 생각으로 아이 곁을 멤돌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Any parent, she says, can examine their parenting style and determine if they are over-parenting their kids or not.
그녀는 어떤 부모든지 그들의 교육 방법을 검사하여 그들이 아이들을 지나치게 보호하는지 아닌지를 알아낼 수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There are three types of overparenting.
지나친 교육엔 세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Overprotective; parents who think the world is scary and unsafe and unpredictable, therefore, I must protect and prevent.
"지나치게 보호하려 하는; 세상은 무섭고 안전하지 않으며 예측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이며, 그러므로, 내가 보호해야만 하고 예방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The second type is the over directive type.
두번째 형태는 지나치게 지시하는 형태입니다.

This is a parent who says, ‘I know best what leads to success and you will do as I say. You’ll study these topics, you’ll do these activities and you’ll be highly achieving in it.’
이런 부모는 '난 성공으로 가는 최선을 알아 그러니 넌 내가 말한대로 하면 돼. 이 문제들을 공부하고, 이런 활동들을 해, 그럼 넌 높은 성취감을 얻게 될거야.' 라고 말합니다.

The third type is the concierge, the parent who just wants to make life smoother, from waking their kid up, to keeping track of their activities, to making sure they haven’t forgotten anything, to having those tough conversations with the teachers to outright helping with the homework or maybe doing the homework for the kid.”
세번째 형태는 안내원입니다, 단지 삶을 원만하게 만들고자 하는 부모이며, 아이들을 잠에서 깨우는 것부터, 그들의 활동을 꾸준히 관찰하고, 어떤 것도 잊어버리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아이를 위해 노골적으로 숙제를 돕거나 어쩌면 아예 숙제를 해버리는 것으로 선생님들과 심각한 대화를 가지는 것까지를 포함합니다.

According to the author, the term “helicopter parenting"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the late sixties.
저자에 따르면, "헬리콥터 교육" 이란 용어는 60년대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습니다.

It became more popular in the nineties, among the baby boom generation.
90년대에는 아기를 낳길 원하는 baby boom 세대들 사이에서 더욱 유명해졌습니다.

When the next generation, Gen X, came along, they thought that’s how they should raise their kids too.
다음 세대인 X세대가 도래했을 때, 그들은 어떻게 아이들을 키워야만 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했습니다.

But it's something only seen in affluent families.
그러나 이건 오로지 부유한 가족들에서만 보여온 형태입니다.

“This is something you do when you have some extra time and money. Helicopter parenting is not happening in low-income communities,” she pointed out.
"이건 당신이 여유시간이 있거나 여유자금이 있을 때 하는거죠. 헬리콥터 교육방식은 저소득 사회에선 일어나고 있지 않아요." 라고 그녀는 지적했습니다.

“Parents don’t have the time or the ability to sort of micro-manage their kids every moment.”
"부모들은 매순간 그들의 아이들을 세심히 관리할 정도의 시간이나 능력은 가지고 있지 않아요."


Short term gain, long term pain
단기 이득, 장기 고통

Lythcott-Haims says although there are short term benefits to being so over-protective, there is a long term cost.
Lythcott-Haims 는 비록 과보호를 함으로써 단기 혜택은 있을 수 있지만, 길게 봤을 때는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If you are at a playground standing next to them as they’re on the swings, if they fall or slip you’re there to catch them, they do not suffer the bruised knee,” she gave as an example.
"만약 당신이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고 있는 자식의 옆에 서있고, 만약 그들을 붙잡기 위해 당신이 그 곳에 있을 때 아이들이 떨어지거나 미끄러진다면, 그들의 무릎에 멍이들어 고통받지 않겠죠," 라며 하나의 예를 주었습니다.

“If you’re helping with your kid’s homework, they are going to get better grade.
"만약 당신 자녀의 숙제를 도와주고 있다면, 그들은 더 좋은 성적을 받겠죠.

The long term cost is if your kid doesn’t learn how to manage their own body on the playground how to take the appropriate risks, which is a lesson only learned by falling a few times, they don’t learn the long term lesson.
장기 비용은 당신의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어떻게 그들의 몸을 다뤄야할지 배우지 못하고, 그러니까 꼭 몇 번 떨어짐으로써 배우게 되는 수업과 같은 그 위험을 어떻게 다루는지, 그들은 장기 수업에서 배우지 못하는거죠.

If you’re always helping with their homework, what you’re effectively telling them is hey kid you’re not capable to be a fourth grader, don’t worry I’m going to help.
만약 당신이 항상 그들의 숙제를 도와주고 있다면, 당신이 그들에게 효과적이라 말하고 있는 것은 "이봐 꼬마야, 넌 4학년생이 될 자격이 없어, 걱정하지마 내가 도와줄게." 인거죠.

They begin to feel less capable.
그들은 점점 능력없음을 느끼기 시작하겠죠.

They begin to feel very reliant on their parents to correct or perfect their academic work.
그들은 학업을 수정커나 완성하는데 그들의 부모에 매우 의지하고 있음을 느끼기 시작하겠죠.

It’s not preparing them to be persistent learners who will be successful in life.”
그들은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끈질긴 학습자가 될 준비가 되어있지 않는거죠."

So what can parents do if they want to break the hovering cycle within their own families?
그렇다면 그들의 가정 안에서의 고착된 순환을 깨버리고 싶다면 부모들은 무엇을 해야만 할까요?

“We have to stop saying 'we' when we mean 'our son or daughter',” Lythcott-Haims insisted.
"우리는 우리 자식들을 의미할 때 '우리' 라고 말하는 것을 멈춰야만 합니다." 라고 Lythcott-Haims 는 주장했습니다.

“Too often a parent would say 'we are on the travel soccer team.' No, your son is or your daughter is.
"너무 자주 부모들은 '우리는 축구팀을 둘러보고 있어.' 라고 말하곤 합니다. 아니죠, 당신의 자녀들입니다.

The next thing is we have to stop arguing with all of the adults in our kids’ life.
다음으로는 아이들의 삶에 대해 어른들이 논하는 것을 멈춰야만 합니다.

I’m not saying we should lay down in the face of authority.
저는 우리의 권위에도 불구하고 모두 내려놓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What I’m saying is we need to teach our kids to advocate for themselves.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 아이들에게 스스로를 격려하는 법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The third thing is we must stop doing our kids' homework.
세번째는 우리는 반드시 우리 아이들의 숙제를 하는 것을 멈춰야 합니다.

The fourth thing is we've got to build skills, teach them to cross the street, teach them to make a meal, to remember to put their own items in their backpacks, which becomes a briefcase one day.”
네번째는 우리는 능력을 계발해야 합니다. 도로를 건너는 방법, 음식을 만드는 방법, 언젠가 사무용가방이 될 백팩에 자신의 사물들을 정리하는 것을 그들에게 가르치는 능력 말입니다.

Step-by-step
단계적으로 말이죠.

Lythcott-Haims offers a step-by-step approach to teaching kids how to take care of themselves.
Lythcott-Haims 은 어떻게 아이들에게 스스로를 지키는지 가르치기 위해 단계적인 접근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First, you do it for them.
첫번째로, 아이들을 위해 하세요.

Then you do it with them, where you’re narrating out loud, teaching them how to do it.
그 다음으로는 그들과 함께 하세요, 큰 소리로 읽어주면서, 어떻게 그것을 하는지를 그들에게 가르치세요.

Then, you watch them do it.
그리고, 그들이 하는 것을 보세요.

You step back and you give them little tips and guidance along the way, but you’re watching them doing it.
한발 물러서서 간단한 팁과 방법을 따른 안내를 해주세요, 하지만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을 당신은 보고만 있는거에요.

Then, the step four, they do it completely on their own.”
그 다음, 네번째 단계는, 그들이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 그것을 완전히 끝내는거에요.

When kids have all the skills to take care of themselves, Lythcott-Haims says, they will be prepared for adulthood.
Lythcott-Haims 은 아이들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모든 기술들을 익히게 되면, 그들은 어른이 될 준비가 될 것이라 말했습니다.



1) empathy: 감정이입, 공감
2) literally: 문자[말] 그대로; (전달하는 사실을 강조하여) 그야말로; (비격식) (어구를 강조하여) 정말로[완전히]
3) hover: (무엇의 가까이, 불확실한 상태에) 계속 맴돌다[머물다]
4) break free[one's hold]: 떨치다, 떨쳐 풀다; (…에서) 도망치다, 탈주하다, 떠나다[from]
5) take a closer look at: …을 주의깊게[세심히] 보다
6) firsthand: 직접(으로), 바로(at first hand); 직접 체험으로
7) firsthand experience: 직접 체험
8) dean: (대학의) 학과장; (특히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 대학의) 학생처장
9) incoming: 새로 당선[선출]된; 도착하는, 들어오는
10) oftentimes: often 의 옛어법, 흔히, 종종
11) lean over: …너머로 몸을 구부리다
12) recall: [진행형으로는 쓰이지 않음] (격식) 기억해 내다, 상기하다
13) examine: 조사[검토]하다, (…에게) 시험을 실시하다
14) determine: 알아내다, 밝히다; (공식적으로) 확정[결정]하다
15) overprotective: 지나치게 보호하려 드는, 과보호하는
16) directive: (격식) 지시[지휘]하는
17) over-parenting: 자식 인생의 안전과 성공을 보장하기위해서 어린이를 과도하게, 지나치게 보호하는
18) highly: 크게, 대단히, 매우
19) concierge: (특히 프랑스에서 아파트 건물의) 수위[관리인]; (특히 美) (호텔의) 안내원
20) outright: adj. 완전한, 전면적인; ad. 노골적으로, 드러내 놓고
21) come along: 도착하다; 생기다[나타나다]
22) affluent: 부유한
23) capable: (능력・특질상) ~을 할 수 있는
24) reliant on: ~에 의지하는
25) persistent: 끈질긴, 집요한; 끊임없이 지속[반복]되는
26) lay down: 내려놓다; (무기 등을) 버리다, 사임하다; 정하다, 규정하다; 단언하다; 저장하다; (상품을) 배달하다.
27) in the face of: (문제·어려움 같은) ~에도 불구하고[~에 직면하여]; (~ 라는 결과) 앞에서
28) authority: 권위, 권한
29) advocate: (공개적으로) 지지하다[옹호하다]
30) have got to: (구어)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해야 한다.  동의어 have to, must.
31) narrate: (격식) 이야기를 하다[들려주다]; (다큐멘터리 등의) 내레이션을 하다
32) along: …을 (죽・계속) 따라,
33) micromanage: [타동사] 세세한 점까지 관리하다
34) yield: [타동사][VN] (수익・결과・농작물 등을) 내다[산출/생산하다]
35) downside: 불리한[덜 긍정적인] 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