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55
And this is how, for me, was born the idea to have an institute of immaterial performing arts. Because thinking about immateriality, performance is time-based art. It's not like a painting. You have the painting on the wall, the next day it's there. Performance, if you are missing it, you only have the memory, or the story of somebody else telling you, but you actually missed the whole thing. So you have to be there. And in my point, if you talk about immaterial art, music is the highest -- absolutely highest art of all, because it's the most immaterial. And then after this is performance, and then everything else. That's my subjective way.
그리고 이것이 무형 공연 미술 기관을 세우자는 아이디어의 계기입니다. 실체가 없는 것에 대한 생각, 공연은 시간 의존적 예술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그림과는 다릅니다. 당신은 벽에 그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다음날도 그것은 거기 있죠. 공연, 당신이 만약 그것을 놓친다면, 당신은 단지 기억이나 당신에게 말해준 누군가의 이야기만 가지고 있는 것이고, 사실은 모든 것을 놓친 셈이죠. 그렇기에 당신은 그곳에 있어야만 합니다. 그리고 제 관점에, 당신이 만약 무형 예술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면, 음악이 최고입니다. 모든 예술 중에 단연 최고죠. 왜냐면 음악은 가장 실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이 이 공연이고, 그 다음이 모든 것이죠. 그게 제 주관적인 관점입니다.
09:33
This institute is going to happen in Hudson, upstate New York, and we are trying to build with Rem Koolhaas, an idea. And it's very simple. If you want to get experience, you have to give me your time. You have to sign the contract before you enter the building, that you will spend there a full six hours, you have to give me your word of honor. It's something so old-fashioned, but if you don't respect your own word of honor and you leave before -- that's not my problem. But it's six hours, the experience. And then after you finish, you get a certificate of accomplishment, so get home and frame it if you want.
이 기관은 New York의 북부 Hudson에 설립될 예정이며, 우린 Rem Koolhaas와 함께하는 아이디어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건 매우 단순해요. 만약 당신이 경험해보고 싶다면, 당신은 제게 당신의 시간을 할애해 줘야 해요. 건물에 입장하기 전 계약에 서명을 해야만 해요, 6시간을 꽉채워야 한다는 서명이니, 꼭 맹세를 해주세요. 방법이 구식이긴 하지만, 당신이 당신의 맹세를져버릴 거라면, 그냥 돌아가세요. 그건 제 문제가 아니거든요. 6시간이에요, 그 체험은 말이죠. 그리고 체험이 끝난 후, 당신은 업적에 대한 증명서를 받고, 그것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며 만약 여기서 당신이 원한다면 그것을 액자로 만들어 벽에 걸어놓을 수 있는거죠.
10:10
This is orientation hall. The public comes in, and the first thing you have to do is dress in lab coats. It's this importance of stepping from being just a viewer into experimenter. And then you go to the lockers and you put your watch, your iPhone, your iPod, your computer and everything digital, electronic. And you are getting free time for yourself for the first time. Becaus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echnology, our approach to technology is wrong. We are losing the time we have for ourselves. This is an institute to actually give you back this time.
여긴 예비교육장이에요. 군중들이 들어오고, 당신이 첫번째로 해야하는 것은 실험실용 가운을 입는거에요. 이것은 그저 한명의 관중에서 실험자가 되는 중요한 단계에요. 그리고나서 당신은 락커로 가고, 당신의 시계, 아이폰, 아이팟, 컴퓨터와 모든 디지털, 전자기기를 벗어놔요. 그리고 최초로 당신 혼자만의 자유시간을 갖게 될거에요. 왜냐면 그곳엔 기술로 잘못된 어떤 것도 없거든요, 기술로의 다가감은 잘못된 거에요. 우린 혼자만의 시간을 잃고 있어요. 이 기관은 실제로 당신에게 이런 시간을 되돌려주는 곳이에요.
1) immaterial : (격식) 무형의, 실체가 없는
2) immateriality : 비물질적인 것, 실체 없는 것
3) time-based : (실험심리학) 시간 의존적
4) orientation : 오리엔테이션, 예비 교육
댓글 없음:
댓글 쓰기